공부합시다 7

스노비즘(snobbism)

1. 개요[편집]'스노비즘(snobbism)'이란, 어떤 대상의 알맹이에는 관심도 없으면서 남에게 과시하거나 돋보이게 하기 위해 껍데기만 빌려오는 성향 및 허영을 나타내는 문화사회학 용어이다. 예컨대 상품, 서비스업 등의 서열화, 아파트 브랜드 펫네임이나 상품명(혹은 제품 설명) 등에 남발되는 외국어(영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보그체 등), 그 밖에 학교의 명문화 등으로 부동산을 제고하려는 시도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문화 허영'으로 순화하려 했다.세간에서 '얕은 지식으로 허세를 부리는 눈꼴사나운 태도'를 가리키는 의미로 축소해서 쓰는 신조어 및 유행어는, 사실상 이 스노비즘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만, 이런 비슷한 의미를 가진 유행어는 스노비즘의 주된 특징인 문화 전반이 아닌 지적인 측면으로 축소하..

공부합시다 2024.07.13

프로이드와 무의식 혁명 -진정한 나를 찾아서-(인문학 강의록 베껴 씀)

프로이트와 무의식 혁명  -진정한 나를 찾아서-  (건국대 김석교수 인문학 강의록)) 1. 들어가는말    프로이트는 이전까지 학문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무의식을 과학의 탐구 대상으로 삼는 정신분석학을 창시함으로써 서구 전통에 깊이 각인된 이성 중심주의를 파열시켰다. 정신분석학은 억압되고 망각되었지만 끊임없이 의식을 뒤흔드는 무의식을 마음의 본질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잃어버린 기원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폴 리쾨르는 해석의 갈등에서 욕망, 충동, 의지 같은 신체의 '선행성, anteriorite'을 강조하는 정신분석학을 '주체의 고고학, archelogie du sujet'이라고 정의했다. 물질적 현상학을 주창한 미셸 앙리는 정신분석학의 계보학에서 정신분석학은 표상성의 근저에 놓인 존재의 본질, 즉 잃어버린..

공부합시다 2014.04.24